본문 바로가기
정보

윈도우 복구 시점, 쉽고 빠른 방법으로 시스템 안정 되찾기!

by 312sfsfafka 2025. 3. 30.

윈도우 복구 시점, 쉽고 빠른 방법으로 시스템 안정 되찾기!

 

목차

  1. 윈도우 복구 시점이란?
  2. 복구 시점 생성 방법
  3. 복구 시점을 이용한 시스템 복구 방법
  4. 복구 시점 활용 시 주의사항

1. 윈도우 복구 시점이란?

윈도우 복구 시점은 시스템 파일, 레지스트리 설정, 설치된 프로그램 등을 특정 시점의 상태로 저장해두는 기능입니다. 문제가 발생했을 때 저장된 시점으로 시스템을 되돌려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2. 복구 시점 생성 방법

  • 시스템 보호 설정 확인:
    • 'Windows 키 + R'을 눌러 실행 창을 열고 'sysdm.cpl'을 입력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 '시스템 보호' 탭에서 '구성'을 클릭하고 '시스템 보호 사용'에 체크합니다.
    • 복구 시점 저장에 사용할 디스크 공간을 설정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 복구 시점 생성:
    • '시스템 보호' 탭에서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 복구 시점에 대한 설명을 입력하고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 복구 시점 생성이 완료되면 '닫기'를 클릭합니다.

3. 복구 시점을 이용한 시스템 복구 방법

  • 시스템 복원 실행:
    • 'Windows 키 + R'을 눌러 실행 창을 열고 'rstrui.exe'를 입력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 '시스템 복원' 창에서 '다음'을 클릭합니다.
    • 원하는 복구 시점을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 복원 작업을 확인하고 '마침'을 클릭합니다.
    • 시스템이 재부팅되고 복원 작업이 진행됩니다.

4. 복구 시점 활용 시 주의사항

  • 복구 시점은 개인 파일(문서, 사진 등)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복구 시점 이후에 설치된 프로그램이나 드라이버는 제거될 수 있습니다.
  • 시스템 복원 전에 중요한 파일은 미리 백업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 복구 시점을 너무 자주 생성하면 디스크 공간이 부족해질 수 있습니다.